LTV, DTI, DSR 이 무엇인가?
주택 담보대출을 받기 위해서 한 번이라도 알아보셨다면 LTV, DTI, DSR 이란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대체 이게 뭐길래 매번 대출 시마다 나오는 건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일단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은행에서 여러 가지 조건을 파악해야 되는데 그 조건의 기준을 잡는 것이 바로 LTV, DTI, DSR입니다.
* LTV (Loan To Value ratio) : 주택 담보인정비율
LTV는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 가치의 비율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담보로 잡을 주택이 5억이고 LTV는 70% 라면 [5억 X 70% = 3억 5천]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러니 담보로 잡은 주택에서 최대로 대출할 수 있는 금액은 3억 5천이 되는 것입니다.
*주택의 자산 가치는 KB 부동산 시세, 감정가액, 국세청 기준 시가 등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 DTI (Debt To Income) : 총부채 상환비율
DTI는 대출 이용자의 연간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출 이용자가 연간 총소득이 5천만 원이고 DTI가 60% 라면 [5천만 원 X60% = 3천만 원]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러면 연간 원리금이 3천만 원 이내로만 대출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DSR (Debt Service Ratio) : 총체적 상환능력 비율
DSR은 대출 이용자의 연간 총소득에서 모든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택 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합산하여 계산을 합니다.
예를 들어 대출 이용자가 연간 총소득이 5천만 원이고 DSR이 60% 라면 [5천만 원 X60% = 3천만 원]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러면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의 합이 3천만 원 이내로만 대출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