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메가3] 효능 종류 섭취방법

by 리치트립 2022. 11. 6.
728x90
반응형

오메가3를 섭취 해야 하는 이유

우리나라 국민 사망 원인 1위는 암이고 2위는 뇌혈관 질환 3위는 심장 질환입니다. 모두 혈관 관련 질병인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손실액이 무려 14조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미리미리 예방하는 게 최선책입니다. 이때 필요한 게 바로 오메가3입니다.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오메가3는 혈액 내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주고 혈전(피떡)이 생기는 걸 막아줍니다. 뿐만 아니라 염증 완화 및 혈압 조절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 제격입니다. 그리고 두뇌 발달 및 기억력 증진에도 좋습니다. DHA라는 성분이 뇌세포 활성화를 돕기 때문입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기름 성분이기 때문에 산패되기 쉽다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보관 시 반드시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해야 하며 가급적 빨리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임산부라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아울러 과다 섭취 시 설사나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하루 권장량을 지키는 게 바람직합니다. 참고로 식약처에서는 하루 500~2,000mg을 복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짚고 넘어가자면 간혹 혈액 응고를 막는 기능이 있어 출혈 질환이 있거나 수술 예정인 환자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오메가3의 종류

시중에 나와 있는 수많은 종류의 오메가3 가운데 나에게 맞는 걸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내 몸 상태에 따라 필요한 영양소도 다르고 함량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게 맞는 오메가3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오메가3의 주요 성분 및 효능 그리고 부작용까지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오메가3는 크게 동물성과 식물성으로 나뉩니다. 전자는 생선 기름이고 후자는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오일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동물성은 EPA와 DHA 함유량이 높고 흡수율이 높은 반면 중금속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식물성은 안전하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체내 흡수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차이만으로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개인의 체질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타입을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비린내나 어취에 민감하다면 당연히 후자를 택해야 하고, 또한 채식주의자라면 고민할 필요 없이 식물성을 고르면 됩니다. 앞의 내용과 전혀 상관이 없는 분이라면 동물성 오메가3를 섭취 하더라고 상관이 없을 것 입니다. 참고로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두뇌 발달을 돕는 DHA가 풍부한 식물성 오메가3가 권장됩니다. 그리고 혈행개선이 목적이라면 EPA의 함류량이 많은 동물성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오메가3는 종류에 따라서 작용하는 효능이 다르기 때문에 먼저 각자의 몸상태를 판단하고 필요한 이유와 목적을 정확하게 알고나서 제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나에게 맞는 좋은 제품을 고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추출 방법에 따른 분류

오메가 3는 추출 방식에 따라 품질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구매 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먼저 헥산추출법은 화학 용매제인 헥산을 사용하여 원료를 녹여내는 방식인데요. 저렴한 가격 탓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잔류용매가 남아있을 우려가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 좋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분자증류추출법은 150°C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 후 기체상태로 변한 기름을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뽑아내는 방식입니다. 이때 상당량의 유기용매가 잔존하는데 최종 정제 과정을 거치더라도 100% 제거되기는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온초임계추출법은 50°C 이하의 저온에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 성분으로 오메가3를 분리시키는 기술입니다. 잔여물이 남지 않을 뿐더러 높은 순도를 자랑합니다. 요즘은 저온초임계추출법을 사용하여 흡수율이 좋은 r-TG폼 형태로 제작된 제품들이 많이 판매되는 추세입니다. 높은 순도와 높은 흡수율로 인해 요즘 가장 많이 선호를 하는 편이지만 그만큼 가격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고려를 해야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기준을 토대로 꼼꼼하게 비교해서 구매할 때 참고 해야합니다.

반응형

댓글